반응형 전체 글63 주식 부채비율을 통해 망하지 않을 회사 찾기 좋은 회사는 어떤 회사일까? 좋은 회사는 어떤 회사일까요? 돈을 잘 버는 회사? 좋은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 기부를 많이 하는 회사? 모두 맞습니다. 하지만 주식에서 좋은 회사의 중요한 조건은 망하지 않는 것입니다. 매수한 주식이 상장폐지로 인해 한순간에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상장폐지 : 증시에 상장된 주식이 자격을 상실해 상장이 취소되는 것 부채 기업을 운영할 때는 큰 자금이 들어갑니다. 자금은 본인의 것일 수도 있고 타인의 것일 수도 있습니다. 돈이 부족해서 타인의 자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추가적인 이익을 위해서 타인의 자금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본인의 자금은 자기 자본 또는 자본이라고 하고, 타인의 자금은 타인 자본 또는 부채라고 합니다. 부채비율 부채가 많으면 좋은 것일까요? .. 2022. 3. 28. 종신보험 정확하게 알고 가입하자 '종신 보험'이라는 단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보통은 '죽으면 돈 나오는 보험'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답입니다. 그럼 종신 보험은 정확히 어떤 걸까요? 가입하면 안 되는 걸까요? 목차 1. '종신'의 의미 2. 종신 사망 보험 3. 종신 사망 보험의 목적 4. 보험료 5. 저축 기능 1. '종신'의 의미 '종신'이라는 단어는 기간을 뜻합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목숨이 다하기까지의 동안'입니다. 다시 말해 '평생'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종신 보험은 뭘까요? 정확한 뜻은 보장 기간이 평생인 보험입니다. 평생 보장이 되는 항목이 뭐가 있을까요? 대부분은 사망보험금입니다. 그렇다 보니 종신 보험이라고 하면 '사망 보험'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종신 암보험 같은 상품들도 있습니다.. 2022. 3. 27. 분산을 이용해서 적금처럼 안정적으로 주식하기 적금처럼 안정적으로 주식 투자를 할 수 있을까요? 적금은 대표적인 안정적인 투자 수단입니다. 은행에서 다루는 상품이기도 하고, 원금 보장이라는 아주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익률이 아주 낮습니다. 적금처럼 안정적으로 주식 투자를 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High risk, high return 큰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큰 위험을 이겨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의 10%는 1,000만 원인데요. 변동폭이 10%라고 가정했을 때 100만 원의 수익을 낼 가능성이 있다면, 100만 원을 손실을 볼 가능성도 있는 것입니다. Low risk인 적금은 수익률이 낮은 것이 당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스크는 줄이고 수익은 늘려서 Low risk, high return의 구조를 만들수록 투자를 잘하는 사.. 2022. 3. 27. 주가 매출 비율(PSR)을 활용한 종목 선택 주식 투자 필수 지식 : PSR 기업의 본질적인 의미는 돈을 버는 것에 있습니다. 돈을 못 번다고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돈을 잘 벌수록 가치가 높게 평가될 것입니다. 그럼 매출이 얼마나 되어야 좋은 기업일까요? PSR의 의미 삼성전자를 예로 보겠습니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400조 원이 넘는데요. 매출은 2021년도 기준 279조 원입니다. 절대적인 수치로는 엄청 큰 매출입니다. 그래서 삼성전자를 좋은 기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의 관점에서 봤을 때 좋다고만 할 수는 없습니다. 시가총액이 400조 원이 넘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 대비 매출이 적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PSR이라고 합니다. 시가총액/매출, 시가총액을 매출로 나눈 값으로 주가 매출 비율이라고도 합니다. PSR의.. 2022. 3. 26. 시가총액을 활용한 주식 포트폴리오 분석 주식 투자 필수 지식 : 시가총액 주식에서 종목을 고를 때 기업의 가치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주의 가격이 1만 원이면 싼 종목이고, 100만 원이면 비싼 종목인가? 답은 당연히 아닙니다. 주가를 통해 시가총액을 알아야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의 의미 시가총액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기업을 돈 주고 사려면 시가총액을 지불하면 된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실제로는 주가와 발행 주식수를 곱한 값이 시가총액인데요.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만 원이고 발행 주식수가 1,000개인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0만 원입니다. 그리고 현재 주가가 100만 원인데 발행 주식수가 10개인 기업의 시가총액도 1,000만 원입니다. 두 기업의 가치가 같은 것이죠. 그렇기 때문.. 2022. 3. 26.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