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주식 관련 세금 정보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금융투자소득세)

by llllllllllllllllllll 2022. 4. 7.

주식에도 세금이 있나요?

최근에 주식을 새로 시작한 사람들이 많다 보니 세금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익이 커질수록 잘 알아야 하는 것이 세금인데요. 미리 알아두면 투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세금의 종류

주식 투자에서 세금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주식을 거래할 때 매도 시점에 부과되는 증권거래세, 배당금에 대해 적용되는 배당소득세, 주식을 매매하여 생기는 차익에 적용되는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 각각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권거래세

증권거래세는 주식의 소유권이 유상으로 이전될 때 양도자에게 양도가액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주식을 살 때는 세금이 없지만 주식을 팔 때는 세금이 있는 것입니다. 상장 주식의 경우 증권거래소를 통해 거래하기 때문에 별도의 신고 없이 증권거래세가 원천징수됩니다. 하지만 비상장 주식 거래의 경우 주식을 양도한 판매자는 증권거래세 신고 기한 내에 증권거래세와 양도소득세를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원천징수 : 수입을 지급하는 사람이 받는 사람이 내야 할 세금을 미리 떼어서 국가에 대신 납부해주는 것

 

증권거래세는 단기간의 잦은 매매로 인한 단기성 투기행위를 막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그래서 주식을 팔 때 거래대금의 일정 비율을 떼어가는 구조로 주식 투자로 손실을 봐도 세금을 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득이 있는 곳에 과세한다는 조세의 기본원칙에 맞지 않아서 2023년까지 단계적으로 축소 및 폐지 예정입니다.

 

배당소득세

주식에 대한 이익의 분배로 발생하는 소득배당소득이라고 합니다. 배당금은 금융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러한 배당금에 적용되는 세금을 배당소득세라고 합니다.

 

  • 2,000만 원 이하의 경우
    배당소득세율 15.4%가 적용됩니다. 이런 경우 따로 신고할 필요는 없습니다. 배당금을 지급해주는 증권사에서 원천징수하게 됩니다. 

 

  • 2,000만 원 이상의 경우
    종합소득세로 과세됩니다. 종합소득금액은 '근로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사업소득+연금소득+기타 소득' 금액의 합계액입니다. 즉,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금융소득과 다른 소득을 합산해서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해외주식의 경우
    해외 주식은 국내 주식과 차이가 있습니다. 국내 주식의 경우 15.4%의 세율로 원천징수합니다. 해외 주식도 국내 주식처럼 원천징수로 세금을 내는 것은 같지만 현지의 세율이 국내의 세율보다 낮은 경우만 그 차액을 국내에서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가장 이슈가 많이 되는 세금이 양도소득세입니다. 양도한다는 것은 소유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긴다는 뜻입니다. 주식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서 생긴 수익에 대한 세금인 것입니다.

 

현재는 대주주에게만 부과되고 있습니다. 코스피 1%, 코스닥 2%, 총액 10억 원 이상의 주식을 보유한 경우 양도차익에서 250만 원을 공제한 후 22%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3년부터는 변경이 있습니다. 국내 주식의 경우 양도소득이 연 5,000만 원 이상 3억 원 이하는 20%, 3억 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25% 세금 부과 예정입니다. 그리고 해외주식, 비상장주식, 채권 파생상품 소득을 하나로 묶어서 250만 원까지 공제하고 나머지에 대해 20% 부과 예정입니다.

 

추가 : 금융투자소득세

금융투자소득세는 2023년부터 새로 생길 예정입니다. 금융투자소득에 적용되는 세율은 과세표준이 3억 원 이하인 경우 20%(지방소득세 포함 22%), 3억 원 초과하는 경우 25%(지방소득세 포함 27.5%)입니다. 투자자의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해 누진 과세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투자소득세라는 별도의 과세 체계를 통해 분류 과세됩니다. 수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최종소득을 계산하게 되는데, 손실에 대해서는 향후 5년 동안 이월하여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이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자산이 커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세금이라는 것은 아주 민감한 요소가 됩니다. 지금 큰돈을 운용하고 있다면 당연한 것이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인 세금의 개념은 알고 있으면 더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